처음 Visual Studio 2010 릴리즈 되었을 때는 HTML5 기능이 추가가 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XML Schema 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HTML 텍스트 에디터에서 HTML5 구문을 사용하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번 Visual Studio 2010 SP1에는 정식으로 HTML5 인텔리센스와 유효성을 검사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가 되었습니다. 이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도구->옵션의 텍스트 에디터->HTML->유효성에서 HTML5 유효성 검사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HTML5가 지원하는 여러 구문을 인텔리센스에서 자연스럽게 보여줍니다. 더불어 CSS3 를 완벽하게 지원하지는 않지만, 일부분 CSS3를 지원해 줍니다. CSS3 기능은 앞으로 그 기능을 보강할 수 있는 확장 기능으로 Visu..
배포 가능한 종속성(Deployable Dependencies) 는 이번 Visual Studio 2010 SP1 에서 새롭게 추가된 기능입니다. 웹 응용 프로그램을 서버로 배포하기 위해서는 필수 구성 요소들이 설치가 되어 있어야 하는데, 배포 가능한 종속성 기능을 이용하면 웹 응용 프로그램이 동작에 필요한 일부 컴포넌트를 바로 배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웹 응용 프로그램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컨텍스트 메뉴를 활성화하면 다음과 같은 메뉴 항목이 추가가 되어 있습니다. 메뉴 항목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타납니다. 이 창에서는 ASP.NET MVC3 에서 사용하는 Razor 컴포넌트와 SQL Server Compact 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배포 시 포함할 종속된 어셈블리..
Razor 지원 ASP.NET MVC3 가 릴리즈 되면서 이에 발맞추어 Visual Studio 2010 SP1이 개발 도구에서 ASP.NET MVC3를 지원합니다. 특히 ASP.NET MVC3 Beta 버전에서는 지원하지 않았던, ASP.NET MVC3의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인 Razor View Engine인데, Razor View Engine의 Syntax 및 Intellisence 도 함께 지원합니다. 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들 때 ASP.NET MVC3 프로젝트 템플릿에서 Razor 뷰를 선택하면 Razor View Engine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일반 ASP.NET MVC3의 ASPX 페이지 또한 새로운 뷰를 추가할 때 Razor 뷰로 추가하면, 기존 ASP.NET MVC3의 Razo..
기본적으로 웹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할 경우 로컬에서 동작하는 ASP.NET Development Server 가 활성화가 됩니다. 그림 1 로컬 ASP.NET Development Server 가 동작하는 화면 웹을 개발할 때 Visual Studio가 제공하는 로컬에서 동작하는 ASP.NET Development Server 로 충분히 어려움 없이 개발을 할 수 있으나 웹 개발의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해 보면 기능이 충분하지는 않았습니다. 예를 들면, 기존의 로컬에서 동작하는 ASP.NET Development Server는 특정 웹 페이지나 XML 웹 서비스, WCF 서비스가 SSL(Secure Sockets Layer)로 동작한다거나 WCF의 NET.TCP, NET.PIPE 등의 바인딩을 사용할 수..
실버라이트 4 이전의 버전에서 Visual Studio에서 성능 프로파일을 지원하지 않은 것은 아닙니다. 다만, 개발 도구에서 지원하지 않았을 뿐이고, Command Line을 이용하여 브라우저를 Attached 하여 성능 프로파일을 할 수 있었습니다. 물론, 예전에도 실버라이트에서 성능 프로파일링을 위해 커맨드 라인으로 프로파일링을 할 수 있었습니다. 아래와 같은 순서대로 커맨드를 실행하면 되었습니다. VSPerfClrEnv /sampleon "c:\Program Files (x86)\Internet Explorer\iexplore.exe" C:\Breakout\Breakout\Bin\Release\TestPage.html VSPerfCmd /start:sample /output:MyFile /atta..
Visual Studio 2010에서 단위 테스트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NET Framework 4.0 의 단위 테스트 프로젝트를 지원했습니다. 단위 테스트 프로젝트를 .NET Framework 3.5 로 변경을 하게 되면 올바로 단위 테스트가 수행되지 않았던 문제가 있었습니다. 바로 아래와 같이 .NET Framework 버전을 변경하게 되면 발생하는 오류 메시지입니다. 그림 1 Visual Studio 2010에서 .NET Framework 3.5 로 변경할 경우 때문에 MSBuild 4.0으로 .NET Framework 3.5 빌드 및 테스트를 하게 되면 올바르게 빌드가 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필자 또한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다음과 같은 불편한 과정을 겪어야 했습니다. 참고 VS2008 을 ..
Visual Studio 2010 SP1 의 실버라이트 4 개발 환경 Visual Studio 2010 SP1은 실버라이트 4 개발자 툴 킷이 포함이 되어 바로 실버라이트 4 개발을 할 수 있습니다. 그림 4 실버라이트 프로젝트 템플릿 선택 기존의 실버라이트 프로젝트 템플릿을 선택하여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실버라이트 버전을 선택하여 원하는 실버라이트 버전으로 개발을 할 수 있습니다. 그림 5 실버라이트 버전 선택 실버라이트 4는 많은 사용자의 요구 사항과 코어의 변화가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링크를 ㅋ통해 MSDN 을 참고하십시오 참고 Silverlight 4의 새로운 기능 http://msdn.microsoft.com/ko-kr/library/dd772166(v=vs.95).aspx 실버라이트..
웹 브라우저 도움말이 데스크탑 응용 프로그램으로 변경 Visual Studio 2010 이전의 도움말 설명서(Help Documentation) 은 별도의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으로 구동되었습니다. 하지만 Visual Studio 2010버전에서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MSDN Online과 같은 화면으로 도움말 설명서가 로컬 웹 서버를 통해 구동이 되었습니다. 그림 1 Visual Studio 2008 도움말 설명서 그림 2 Visual Studio 2010 로컬 웹 도움말 설명서 두 가지 방식의 장단점은 다르겠지만, Visual Studio 2010 로컬 웹 도움말 설명서는 입력한 내용의 인덱스를 보여주지 않아 매우 불편했었습니다. 클래스 이름이나 네임스페이스 이름으로 검색할 때 AJAX 기술로 키워..
그간 저희 Visual Studio Korea 팀에서 2010년 6월 1일 REMIX10 무료 온라인 백서를 참석 전원에게 드린 적이 있었습니다. http://vsts2010.net/338 Visual Studio 2010 최신 PDF 자료를 MSDN 에서 다운로드 받으세요 그리고 지난 2011년 4월 18일, 그 두 번째 온라인 무료 백서를 공개하게 되었습니다. VISUAL STUDIO KOREA 팀의 온라인 백서 다운로드 사이트 http://msdn.microsoft.com/ko-kr/gg620748 Visual Studio 응용 프로그램 모델링 완전 정복 백서 엄준일 MVP (엔씨소프트) – 다운받기 "Visual Studio 응용 프로그램 모델링 완전 정복 백서"는 개발자에서 더 뛰어난 개발자로 ..
테스트 가상화... 몇 해 전부터 클라우드(Cloud) 붐이 일어나면서 굉장히 다양한 클라우드 인프라와 서비스가 여러 벤더에 의해 발전해 왔습니다. 그 중 Microsoft 는 가상화 기술을 기반으로 플랫폼, 인프라 서비스 등이 결합하여 Azure 라는 훌륭한 클라우드 서비스 환경을 구축하였습니다. 이런 클라우드 서비스의 가능성은 가장 최하위 기반이 되는 가상화 기술이 바로 그것입니다. 필자는 처음에는 클라우드라는 것이 도대체 GREEN IT 를 마케팅 용어로 벗삼고, TOC 절감과 관리적인 요소들에 그저 불편한 심기를 내비쳤습니다. 왜냐하면 늘 그래왔듯이 거품이 빠지고, 걸음마 수준의 기술과 마케팅으로 수 많은 것들이 기억 속에서 사라진 것들이 더 많기 때문입니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테스트 가상..
주최 : 한국 Visual Studio 공식 팀 일시 : 2010년 9월 28일 오후 7시 ~ 10시 장소 : 한국 마이크로소프트 - 포스코 센터 5층 참가비 : 무료 최근 쏟아지는 기술의 홍수 속에서 '아차~' 하고 눈 깜빡할 순간 신기술에 낙오되기 쉽습니다. 한 번은 괜찮지만, 두 번은 기술 트랜드를 따라잡기가 더 힘들어 집니다. 저희 팀에서 기술을 먼저 접해보고, 먼저 고민해본 살아있는 경험을 여러분들에게 전수해 드립니다. 세미나 아젠다 시간 세션 내용 19:00 ~ 19:30 등록 19:30 ~ 20:10 현실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이야기 남정현 C# MVP 20:20 ~ 21:00 Expression Blend 와 함께하는 윈도우 폰 7 개발 입문 조진현 21:10 ~ 21:50 Razor 로 열..
안녕하세요. 지난 2010년 8월 28일, '한국 Visual Studio 공식 팀(Visual Studio Korea)' 에서 주최한 Visual Studio Camp #1 세미나의 발표 자료를 공개해 드립니다. (세미나의 후기는 [세미나 후기] Visual Studio Camp #1 를 참고하세요) ※ 세미나 발표 자료의 저작권과 권리는 발표를 진행한 스피커와 Visual Studio Korea(한국 Visual Studio 공식 팀) 에 있으므로, 영리/비영리/변경하실 수 없습니다. PDF 문서 다운로드 XPS 문서 다운로드 세미나 아젠다 Native 트랙 .NET 트랙 Enterprise 트랙 14:00 ~ 14:50 Visual Studio 2010 : C++0x와 Windows 7 최성기 그것..
2010년 8월 28일, Visual Studio Camp #1 에서 발표한 "Enterprise Track : [2] 소프트웨어 품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테스트 기법 - 엄준일 ALM MVP" 세션을 들어주신 분 중에 어느 테스트 전문가를 만나 뵙게 되었습니다. 최근 테스트 공학과 테스트 프로세스에 푹 빠져있는 저에게 매우 단비와도 같은 분이시고, 특히 테스트 전문 도구인 Load Runner 제품을 실제로 사용하고 계신 분이셨습니다. (http://willstory.tistory.com/4) 제 세션의 내용과 현재 사용하고 계신 Load Runner 제품에 대해 경험적으로 비교를 해 주신 후기를 작성해 주셔서,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될까 싶어 @will_story 님의 동의를 얻어 저희 팀 블로그에 게..
2010년 8월 28일, 웹 타임 교육센터에서 Visual Studio Camp #1 이 개최되었습니다. 이 날 세미나는 저희 한국 Visual Studio 팀에서 주최하고, 웹 타임 교육센터와 Visual Studio 2010 이 후원한 행사입니다. 세미나 정보 http://onoffmix.com/event/1676 저희가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NET 트랙의 C#, ASP.NET MVC, WCF 세미나도 재미있는 내용으로 알차게 준비를 했습니다. 그리고 흔히 접하기 힘든 Enterprise 트랙과 Native 트랙도 가뭄의 단비와도 같은 트랙입니다. 원래 웹 타임 교육센터는 각 자리에 교육 PC 가 비치된 환경으로 책상 위에 컴퓨터 모니터와 키보드, 마우스가 비치되어 있었으나, 세미나 참가자의..
Visual Studio 2010 이 출시된 이후 짧은 시간 동안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변화의 움직임을 직접 느끼고 있고요. 많은 기업과 고객, 그리고 여러분들께서 보여주신 관심은 기대 이상이었습니다. 이에 질세라 저희 Visual Studio 2010 공식 팀에서 여러분들을 위해 많은 문서를 무료로 만들어 배포하고 있습니다. 아래의 링크에서 방대한 양의 문서를 PDF 로 무료로 다운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http://msdn.microsoft.com/ko-kr/vstudio/default.aspx Visual Studio 2010 Visual Studio 2010이 필요한 10가지 이유-라인업 및 기능소개 브로셔 Visual Studio 2010 UPGRADE NOW 프로모션 브로셔 Vi..
지난 6월 1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호화스럽게 열린 REMIX10 행사가 있었습니다. 이날 행사에서는 천 여명 훌쩍 넘는 분들이 참석하셨습니다. 많은 분들이 평일에 개최된 행사라 사정이 여의치 않은 분들께서는 참석하지 못하신 것으로 알고 있는데, Microsoft Korea 에서 이날 모든 세션을 녹화하여 드디어 REMIX10 행사의 모든 세션이 공개가 되었습니다. 비록 이 날 참석하지 못하신 분들도, 아래의 링크를 통해 녹화된 비디오를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visitmix.co.kr/remix10/agenda.html 특히, 이 날 키노트 세션은 모든 세션의 중요 정보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중요한 시간이기도 합니다. 모든 세션을 시청하기 시간이 부족하신 분..
2010년 6월 1일. REMIX10 행사는 2010년부터 장차 이끌어갈 Microsoft 기술이 총 집합하는 기술, IT 행사입니다. 이 날 REMIX10 의 큰 컨셉은 웹, 모바일, 개발 도구의 큰 획을 긋는 분야를 총 망라한 행사이기도 합니다. 이 날, Visual Studio 2010 공식 팀은 Microsoft Korea 에서 많은 도움을 주셨던 터라, 좋은 자리에서 여러분들에게 시연 및 데모, 질의 응답을 받았습니다. REMIX10 의 Track 03 은 Visual Studio 2010 공식 팀에서 Visual Studio 2010 과 Team Foundation Server 2010, C# 4.0 을 주제로 세션이 진행되었습니다. Visual Studio 2010 이 중요한 이유는 단 한가..
지난 6월 1일 Microsoft 의 여러가지 제품과 기술이 총 집합하는 행사 REMIX10 입니다. 이날 Visual Studio 2010 공식 팀 블로그는 여러 파트너사 부스와 Visual Studio 2010 제품의 메인 부스에 버금가는 규모로 부스가 운영되었습니다. 이 날, 클라우드, 모바일, VS2010 등의 큰 테마를 주제로 진행된 다양한 세션 중 단연, Visual Studio 2010 이 참석하신 여러분의 기술적인 욕구를 충분히 충족할 수 있는 시간이 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필자는 Visual Studio 2010 이 주는 새로운 기능에 단지 포커스를 맞추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기능은 언제든지 보강을 할 수 있기 때문이죠. 그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Visual Studio 2010 이 우..
Visual Studio 2010! 나랑 놀아보자 – 기본편 (6회) 영상이 보이지 않으면 이곳을 클릭해서 실버라이트를 설치하세요Generate from Usage 기능은 코드를 좀 더 빠르게 만들고, 디자인에 초점을 맞추어 코드를 만들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기존의 Visual Studio 에는 3rd Party 확장 기능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었으나, 여러가지 리팩토링 기능이 많아 무겁게 동작하거나 답답한 경우가 있었습니다. Generate from Usage 과 같은 세세한 배려가 Visual Studio 의 아쉬움을 채워주는 단비와도 같네요. Windows Media Video (WMV) Windows Media Audio (WMA) iPod..
Visual Studio 2010 과 .NET Framework 4.0 트레이닝 키트 Visual Studio 2010 과 .NET Framework 4.0 트레이닝 키트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Visual Studio 2010 CTP 버전부터 지속적으로 트레이닝 키트를 제공했습니다. 특히 고마운 것은 Visual Studio 2010 RTM 까지 이 트레이닝 킷의 업데이트를 소홀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이 트레이닝 키트에는 PPT 파일, Hands-on Lab, 데모 소스 코드, 동영상이 포함이 되어있으며, 아래와 같은 범위의 내용이 포함이 되어있습니다. C# 4 Visual Basic 10 F# Parallel Extensions Windows Communication Found..
Visual Studio 2010 출시 몇 시간 만에 Visual Studio 2010 e-book 이 나왔습니다. 내용 전체가 포함된 것이 아니라, PREVIEW CONTENT 만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내용상으로 기초적인 내용에서 약간의 중급적인 내용이 포함이 되어있어 한번씩 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아직 책이 완성본은 아닙니다. 아마도 예정대로라면 2010년 여름쯤이면 책의 모든 콘텐트가 업데이트 될 것 같습니다. Moving to Visual Studio 2010 e-book http://www.microsoft.com/downloads/details.aspx?displaylang=en&FamilyID=560a5365-5c62-488a-91ed-a779e0e33ac4
Visual Studio 2010 공식 팀 블로그의 트위터 안녕하세요. Visual Studio 2010 공식 팀 블로그에서는 트위터를 통해 여러분들과 소통을 하고 있습니다. http://twitter.com/vsts2010 Visual Studio 2010 Launch Live 를 트위터로 생중계 VS2010 팀의 트위터를 통해 라스베가스의 Bellagio Hotel 에서 생방송으로 진행된 Visual Studio 2010 Launch Live 를 생중계 하였습니다. Visual Studio 2010 Launch Live 는 아래의 링크에서 다시 볼 수 있습니다. http://www.microsoft.com/presspass/presskits/developer/videogallery.aspx?conte..
드디어 Visual Studio 2010 이 출시가 되었습니다. Subscribe to MSDN 을 통해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https://msdn.microsoft.com/ko-kr/subscriptions/securedownloads/default.aspx 초기 Visual Studio CTP 와 Beta 버전에서 많은 논란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Visual Studio 개발팀의 많은 노력과 결실이 Visual Studio RC 에서 상당수가 개선이 되었습니다. 이번 메이저 업그레이드 버전에서 많은 사용자의 피드백을 통해 많은 버그 들이 수정이 되었답니다. 얼마나 많은 사용자가 참여를 했고, Fixed 버전이 나왔는지 아래의 Microsoft Connect 사이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
오늘 Visual Studio 2010 출시 일정이 나왔습니다. Rob Caron 말에 의하면 2010년 4월 12일에 출시가 된다고 합니다. Microsoft 직원이 전하는 이야기이니 아마도 이 날에 출시하는 것을 신뢰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Rob Caron 은 Microsoft 에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매니저로 일하고 있으며, Developer, User Experience Runtime, Tools 과 관련된 일을 하고 있는 분입니다. Microsoft 에 입사 하기 전에 개발자 출신인데, Microsoft 에서 이전에는 개발자 마케팅과 MSDN 개발자 센터, Visual Studio 마케팅 사이트, 개발자 이벤트, MSDN Library 에 콘텐트를 게시하는 일도 하셨다고 합니다. 좀 아쉬운 것..
지난 6월 10일 VSTS 2010 팀에서 세미나를 진행하였습니다. 세미나 프레젠테이션은 MEF 세미나 자료 에서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얼마 전에 촬영한 동영상도 공개가 되었습니다. VSTS 2010 은 굉장히 큰 규모의 개발 도구, 개발 플랫폼 등의 버전 업으로 아직도 많은 부분을 알려드리지 못했고, 미처 저희들도 모두 알지 못하는 부분도 많습니다. 하지만 남들보다 먼저 접해본 분야이고 이것을 알려드리기 위해 진행한 세미나입니다. 아래의 동영상을 시청하시고 VSTS 2010 에 많은 관심을 가져주세요. ^^ 엄준일 - Managed Extensibility Framework 그리고 저희 팀원들이 진행한 세미나도 굉장히 볼만합니다. 그리고 전혀 중복되지 않는 분야의 세미나이기 때문에, 하나 하나씩 시..
지난 6월 10일 VSTS 2010 팀에서 세미나를 진행하였습니다. 세미나 프레젠테이션은 MEF 세미나 자료 에서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얼마 전에 촬영한 동영상도 공개가 되었습니다. VSTS 2010 은 굉장히 큰 규모의 개발 도구, 개발 플랫폼 등의 버전 업으로 아직도 많은 부분을 알려드리지 못했고, 미처 저희들도 모두 알지 못하는 부분도 많습니다. 하지만 남들보다 먼저 접해본 분야이고 이것을 알려드리기 위해 진행한 세미나입니다. 아래의 동영상을 시청하시고 VSTS 2010 에 많은 관심을 가져주세요. ^^ 강보람 - C# 연대기 - C# 의 Before/After 공성의 - VSTS 2010 의 소프트웨어 품질 관리 김병진님의 - VSTS 2010 Architecture & UML 엄준일 ASP...
안녕하세요. 저희 팀 블로그는 .NET Framework 4.0 과 VSTS 2010 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공식 팀 블로그 입니다. 현재 저희 팀은 학생을 비롯하여, 개발자, 아키텍처, 컨설턴트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Microsoft MVP 분들이 현재까지도 활동을 하고 계십니다. VSTS 2010 팀의 지난 2분기 활동을 모두 마치고, 올해 3분기를 이끌어가실 새로운 팀 맴버를 모집합니다. 저희 팀에서는 아래와 같은 활동을 하게 됩니다. VSTS 2010 팀 활동 분야 스터디 매월 2회 오프라인 스터디를 운영하여, 기술적인 부분을 공유하고 토론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팀 블로그 팀 블로그를 통해 자신만의 분야 또는 배우고 싶은 분야를 공부하여 블로그에 게시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합니다. 다양한 ..
- Total
- 2,841,738
- Today
- 3
- Yesterday
- 47
- ***** MY SOCIAL *****
- [SOCIAL] 페이스북
- [SOCIAL] 팀 블로그 트위터
- .
- ***** MY OPEN SOURCE *****
- [GITHUB] POWERUMC
- .
- ***** MY PUBLISH *****
- [MSDN] e-Book 백서
- .
- ***** MY TOOLS *****
- [VSX] VSGesture for VS2005,200…
- [VSX] VSGesture for VS2010,201…
- [VSX] Comment Helper for VS200…
- [VSX] VSExplorer for VS2005,20…
- [VSX] VSCmd for VS2005,2008
- .
- ***** MY FAVORITES *****
- MSDN 포럼
- MSDN 라이브러리
- Mono Project
- STEN
- 일본 ATMARKIT
- C++ 빌더 포럼
- .
- Visual Studio
- mono
- test
- 비주얼 스튜디오 2010
- 땡초
- POWERUMC
- Visual Studio 2010
- .NET
- Visual Studio 11
- MEF
- 팀 파운데이션 서버
- testing
- github
- c#
- Team Foundation Server
- .NET Framework 4.0
- umc
- ASP.NET
- Silverlight
- 비주얼 스튜디오
- Managed Extensibility Framework
- TFS
- Team Foundation Server 2010
- TFS 2010
- monodevelop
- Visual Studio 2008
- Windows 8
- LINQ
- ALM
- 엄준일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2020/05 (1)
- 2019/10 (3)
- 2018/11 (1)
- 2018/08 (2)
- 2017/04 (1)
- 2017/01 (2)
- 2016/11 (2)
- 2016/08 (1)
- 2016/05 (1)
- 2016/04 (2)
- 2016/02 (2)
- 2016/01 (1)
- 2015/05 (1)
- 2015/04 (2)
- 2015/03 (1)
- 2015/02 (1)
- 2015/01 (1)
- 2014/11 (1)
- 2014/09 (2)
- 2014/08 (2)
- 2014/05 (2)
- 2014/04 (3)
- 2014/03 (2)
- 2014/02 (2)
- 2014/01 (4)
- 2013/12 (2)
- 2013/11 (1)
- 2013/10 (2)
- 2013/09 (6)
- 2013/08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