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0년 9월 28일, Visual Studio Korea 에서 처음으로 진행한 Visual Studio Seminar #1 이 있었습니다. 이 날 세미나를 위해 많은 분들이 ONOFFMIX 사이트를 통해 등록을 해 주셨고, 모든 분들이 오신 것은 아니지만 재미있는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하였습니다. 세미나 아젠다 시간 세션 내용 19:00 ~ 19:30 등록 19:30 ~ 20:10 현실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이야기 남정현 C# MVP 20:20 ~ 21:00 Expression Blend 와 함께하는 윈도우 폰 7 개발 입문 조진현 21:10 ~ 21:50 Razor 로 열어가는 새로운 ASP.NET 김시원 ASP.NET MVP 발표 내용 소개 현실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이야기 / 남정현 C# MVP..
지난 2010년 9월 28일, Visual Studio Korea 에서 처음으로 진행한 Visual Studio Seminar #1 이 있었습니다. 이 날 세미나를 위해 많은 분들이 ONOFFMIX 사이트를 통해 등록을 해 주셨고, 모든 분들이 오신 것은 아니지만 재미있는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하였습니다. 이 날 발표했던 자료를 공유해 드립니다. 세미나 후기가 궁금하신 분은 여기를 클릭하세요^^ 발표 내용 소개 현실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이야기 / 남정현 C# MVP 클라우드 컴퓨팅, 말로만 들어봤지 실제로 어디에 어떻게 사용이 될 수 있는지 알려주는 사람이 없어 답답할 때가 많습니다. 이번 세션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에 관한 실질적인 이야기, 그 중에서도 특별히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 애저 플랫폼에 대한 이야..
주최 : 한국 Visual Studio 공식 팀 일시 : 2010년 9월 28일 오후 7시 ~ 10시 장소 : 한국 마이크로소프트 - 포스코 센터 5층 참가비 : 무료 최근 쏟아지는 기술의 홍수 속에서 '아차~' 하고 눈 깜빡할 순간 신기술에 낙오되기 쉽습니다. 한 번은 괜찮지만, 두 번은 기술 트랜드를 따라잡기가 더 힘들어 집니다. 저희 팀에서 기술을 먼저 접해보고, 먼저 고민해본 살아있는 경험을 여러분들에게 전수해 드립니다. 세미나 아젠다 시간 세션 내용 19:00 ~ 19:30 등록 19:30 ~ 20:10 현실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이야기 남정현 C# MVP 20:20 ~ 21:00 Expression Blend 와 함께하는 윈도우 폰 7 개발 입문 조진현 21:10 ~ 21:50 Razor 로 열..
안녕하세요. 지난 2010년 8월 28일, '한국 Visual Studio 공식 팀(Visual Studio Korea)' 에서 주최한 Visual Studio Camp #1 세미나의 발표 자료를 공개해 드립니다. (세미나의 후기는 [세미나 후기] Visual Studio Camp #1 를 참고하세요) ※ 세미나 발표 자료의 저작권과 권리는 발표를 진행한 스피커와 Visual Studio Korea(한국 Visual Studio 공식 팀) 에 있으므로, 영리/비영리/변경하실 수 없습니다. PDF 문서 다운로드 XPS 문서 다운로드 세미나 아젠다 Native 트랙 .NET 트랙 Enterprise 트랙 14:00 ~ 14:50 Visual Studio 2010 : C++0x와 Windows 7 최성기 그것..
2010년 8월 28일, 웹 타임 교육센터에서 Visual Studio Camp #1 이 개최되었습니다. 이 날 세미나는 저희 한국 Visual Studio 팀에서 주최하고, 웹 타임 교육센터와 Visual Studio 2010 이 후원한 행사입니다. 세미나 정보 http://onoffmix.com/event/1676 저희가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NET 트랙의 C#, ASP.NET MVC, WCF 세미나도 재미있는 내용으로 알차게 준비를 했습니다. 그리고 흔히 접하기 힘든 Enterprise 트랙과 Native 트랙도 가뭄의 단비와도 같은 트랙입니다. 원래 웹 타임 교육센터는 각 자리에 교육 PC 가 비치된 환경으로 책상 위에 컴퓨터 모니터와 키보드, 마우스가 비치되어 있었으나, 세미나 참가자의..
저희 "한국 Visual Studio 공식 팀" 에서 세미나를 주최합니다. 저희 "한국 Visual Studio 공식 팀" 은 온라인 팀 블로그(http://vsts2010.net) 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동안 저희 팀원들은 다양한 세미나 경험을 바탕으로 많은 강사진을 구축하였습니다. 그 경험을 바탕으로 저희 팀에서 주최하는 세미나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다가오는 2010/08/28일에 첫 Visual Studio Camp #1 을 진행하오니 많은 성원 부탁 드립니다. 세미나 등록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http://onoffmix.com/event/1676 Visual Studio Camp #1 - 주최 : 한국 Visual Studio 공식..
지난 6월 1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호화스럽게 열린 REMIX10 행사가 있었습니다. 이날 행사에서는 천 여명 훌쩍 넘는 분들이 참석하셨습니다. 많은 분들이 평일에 개최된 행사라 사정이 여의치 않은 분들께서는 참석하지 못하신 것으로 알고 있는데, Microsoft Korea 에서 이날 모든 세션을 녹화하여 드디어 REMIX10 행사의 모든 세션이 공개가 되었습니다. 비록 이 날 참석하지 못하신 분들도, 아래의 링크를 통해 녹화된 비디오를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visitmix.co.kr/remix10/agenda.html 특히, 이 날 키노트 세션은 모든 세션의 중요 정보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중요한 시간이기도 합니다. 모든 세션을 시청하기 시간이 부족하신 분..
2010년 6월 1일. REMIX10 행사는 2010년부터 장차 이끌어갈 Microsoft 기술이 총 집합하는 기술, IT 행사입니다. 이 날 REMIX10 의 큰 컨셉은 웹, 모바일, 개발 도구의 큰 획을 긋는 분야를 총 망라한 행사이기도 합니다. 이 날, Visual Studio 2010 공식 팀은 Microsoft Korea 에서 많은 도움을 주셨던 터라, 좋은 자리에서 여러분들에게 시연 및 데모, 질의 응답을 받았습니다. REMIX10 의 Track 03 은 Visual Studio 2010 공식 팀에서 Visual Studio 2010 과 Team Foundation Server 2010, C# 4.0 을 주제로 세션이 진행되었습니다. Visual Studio 2010 이 중요한 이유는 단 한가..
굉장한 애자일 세미나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모두가 알다시피 애자일의 가장 큰 과제는 바로 노하우 입니다. 애자일을 먼저 안다고 잘하는 것이 아닙니다. 먼저 경험해보고 좀 더 많이 고민하는 사람이 바로 애자일러(Agileor) 입니다. 그리고 실패를 해 본 사람만이 좀 더 애자일을 잘 할 수 있다고 필자는 생각합니다. 대체적으로 애자일은 반복(Iteration) 의 기간이 굉장히 짧습니다. 애자일이 갖는 높은 위험성을 여러가지 구성 요소를 통해 높은 위험성을 낮추려고 합니다. 그 이유는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높이고 무언가의 가치를 만들기 위해서 입니다. 한번쯤 '어떻게 하면…' 이라는 고민을 가져본 분들이라면 꼭 참석해 보시길.. 그리고 후기도 함께 공유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국내에서도 점차 애자일 (A..
최근에 많은 기술이 쏟아지고, .NET 의 생태계에도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습니다. 바로 Microsoft 에서 야심차게 준비하고 있는 .NET 4.0 플랫폼과 Team Foundation Server 기술은 상상과 생각을 현실로 이루어주는 강력한 밑거름이 되기 때문입니다. 지금이 아마 우리도 함께 변화할 수 있는 최고의 시점이며, 본 세미나는 그 길을 열어주는 가장 효과적인 세미나가 될 것입니다. 본 세미나는 프로젝트를 주도하는 관리자나 프로젝트 매니저를 위한 세미나입니다. 세미나 신청은 아래 "세미나 등록하기" 버튼을 클릭하십시오. ALM 의 도입과 그 필요성 여러분의 조직은 효율적이라고 생각하나요? 바꾸어 보십시오. 국내 최고 아키텍처겸 컨설턴트인 닷넷엑스퍼트의 안재우 수석님의 많은 경험을 전수해드립..
태오 닷넷에서 ASP.NET 4.0 를 과 JQuery 와 WCF REST 서비스에 대한 종합 선물 세트 세미나를 진행합니다. 신청하는 방법은 아래의 링크로 이동하셔서 댓글만 달아주시면 됩니다. ^^ http://taeyo.net/Forum/Content.aspx?TBL=NOTICE&SEQ=372&PGN=1 참석하실 분들은 리플에 자신의 이름(혹은 아이디)를 기입해주시기 바랍니다. 날짜 : 2010년 1월 30일 토요일 오후 2시 장소 : 선릉역 근처 포스코빌딩 서관 5층 마이크로소프트 세미나 룸 지도 : 세션 시간 : 오후 2시부터 6시까지 세션 개요 : 2:00 - 2: 50 ASP.NET 4.0 New Features ? Part 1 3:00 - 3: 50 ASP.NET 4.0 New Feature..
http://taeyo.net/Forum/Content.aspx?TBL=NOTICE&SEQ=340&PGN=1 아래는 태요 세미나 소식을 스크랩 하였습니다. 태오닷넷에서 2009년 1월 asp.net 개발자들을 위한 세미나를 합니다. ria가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른 지금이지만, 수많은 프로젝트는 현재도 그리고 앞으로도 asp.net으로 구축될 것임이 자명하기에 asp.net에 대한 백 투더 퓨처 이야기를 세미나로 엮어볼 예정에 있습니다. 1월 작은 세미나를 시작으로 3월에는 조금 더 많은 세션으로 크게 세미나를 열 예정에 있기도 합니다. (3월 세미나는 추후에 다시 공지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세미나의 요약 정보입니다. 제목 : 태오닷넷 asp.net 세미나 날짜 : 2009년 1월 10일 토요일 오후 ..
올해 Devdays 2008 은 온라인으로 열림으로써 기존에 오프라인에서 갖지 못했던 많은 이야기를 풀어 놓을 수 있는 좋은 기회인것 같습니다. 그런데, 올해 Devdays 2008 은 어떤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할까? 저희 안재우 수석님의 말을 빌려 포스팅을 쓰게 되었는데, 올해 Devdays 2008 의 키워드는 이전의 행사와는 전혀 다르다는 것입니다. 그럼 한번 Devdays 2007 의 아젠다와 Devdays 2008 의 아젠다(키워드)를 비교해 볼까요? [그림1] [그림1] Devdays 2007 아젠다 (클릭하면 확대 됩니다) 아젠다가 시대적인 배경을 가장 잘 반영해 주긴 하지만, Devdays 2007 은 주로 Microsoft 의 플랫폼과 .NET Framework 3.X 에 촛점이 맞추어져..
Devdays 2008 행사가 시작되었습니다. 한국 Microsoft 가 주최하는 개발자 대상의 연중 가장 큰 행사인데요. 원래는 오프라인으로 진행되는 Devdays 는 올해 온라인으로 개최되었습니다. 오프라인 행사가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것에 대해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습니다만, 온라인으로 열리는 Devdays 도 나쁘지 않네요^^ 저희 닷넷엑스퍼트에서는 Devdays 에 총 세 분이 출연을 하였답니다. 올해는 저도 Devdays 2008 행사에 참여하게 되었는데, 그다지 다시 보고 싶지는 않네요 ^^; 강성재 차장님 덕분에 위기를 많이 모면하였답니다. ^^ 그럼 다 같이 Devdays 2008 행사로 고고!! Devdays 2008 http://www.microsoft.com/korea/devdays2..
지금 미국에서는 PDC 행사가 열리고 있습니다. 저희 닷넷엑스퍼트 에서는 이건복 대표이사님과 안재우 수석님이 참여하고 계십니다. PDC 행사란?? 이렇게 저희 회사의 두 분이 참여하고 계신 PDC 행사에 대해서 모르신다구요?? 그럼 아래의 이건복 대표이사님의 블로그를 보세요. Microsoft PDC 행사.. http://keon.egloos.com/4658430 다양한 주제의 세션 PDC 현장에서는 굉장히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세션이 진행되고 있는 듯 합니다. 어느 한 블로거는 많은 세션 중에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면서, 고민끝에 하나의 세션을 정한 것 같습니다. Chris Green's Blah(g) http://blogs.msdn.com/chris.green/archive/2008/10/26/read..
2008-01-05. 커뮤니티와 함께하는 24주간 UX 기술여행 세미나를 다녀왔습니다. 오늘도 어김없이 30분정도 늦게 도착하여, 앞자리를 선점할 수 가 없었답니다 ㅠ.ㅠ WPF Graphics & Animation / Expression Media Encoder / XAML 프로그래밍 세 세션 모두 들어보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조만간 웹케스트로 올라올 것 같네요. 세미나를 마치고, 좌측으로부터 공인석(공도)님 / 엄준일(나) / 김영욱님 / 한상국님 공도님 덕분에 뒷풀이(저녁)를 참석할 수 있는 기회가 되어서, 맛있는 고기도 먹었습니다. ^^ 김영욱 MVP 님~ 잘 먹었습니다^^ 그리고 너무 많은 지식을 머리에 담고 계셔서 항상 피가 모자리신 송기수 MVP 님의 아낌없는 조언도 너무나 도움..
2007-12-22일 MS 의 커뮤니티와 함께하는 24주간 UX 기술 여행 세미나를 다녀왔습니다. 그 전날 술을 너무 과음한 탔에 오후까지 늦잠자고, 오후 4시가 되어서야 세미나를 참석할 수 있었습니다. +_+ 세미나 후에 훈스닷넷 송년회도 가졌답니다. 많은 분들이 참석하고 싶어하신 것 같은데, 어색한 분위기에 선뜻 뒷풀이에 참석 못하신 분들도 많으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처음에만 어색할 뿐이에요^^ 다음에 기회가 되면 더 많은 분들이 뒷풀이 참석하셔서 이런저런 좋은 얘기 나누었으면 합니다. 세미나 후기 사진 몇 장 건져서 올려봅니다~
2007년 11월 20일 드디어 기대하던 데브데이즈에 참석하였다. 원래 행사 신청을 했었지만, 프로젝트 중이라 못가겠다고 생각했었는데, 우리 멋쟁이 PM 의 허락에 데브데이즈에 참석할 수 있었다. 가장 먼저 찾아간 곳은 훈스닷넷 부스였고, 훈스닷넷 관계자들은 오프닝 연극을 준비하러 조금은 썰렁했다. 훈스닷넷 연극팀의 재미있는 연극을 보고, 바로 이어진 Microsoft 박남희 상무님의 인사말이 있었다. "행복한 개발자 세상" 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진행되었지만, 행복한 개발자를 설명하기 위해 역시나 개발자의 여러 고충과 야근 등의 무거운 내용이 많이 언급이 되었다. 그중, 10년전의 개발자의 사회적 위치와 현재의 개발자의 사회적 위치가 많이 바뀌었다는 것도 말이다. 무모한 프로젝트의 진행으로 야근은 필수가..
- Total
- 2,836,348
- Today
- 50
- Yesterday
- 69
- ***** MY SOCIAL *****
- [SOCIAL] 페이스북
- [SOCIAL] 팀 블로그 트위터
- .
- ***** MY OPEN SOURCE *****
- [GITHUB] POWERUMC
- .
- ***** MY PUBLISH *****
- [MSDN] e-Book 백서
- .
- ***** MY TOOLS *****
- [VSX] VSGesture for VS2005,200…
- [VSX] VSGesture for VS2010,201…
- [VSX] Comment Helper for VS200…
- [VSX] VSExplorer for VS2005,20…
- [VSX] VSCmd for VS2005,2008
- .
- ***** MY FAVORITES *****
- MSDN 포럼
- MSDN 라이브러리
- Mono Project
- STEN
- 일본 ATMARKIT
- C++ 빌더 포럼
- .
- Visual Studio 2008
- c#
- testing
- Team Foundation Server 2010
- 땡초
- Silverlight
- github
- umc
- Managed Extensibility Framework
- Visual Studio
- Visual Studio 2010
- TFS
- TFS 2010
- 팀 파운데이션 서버
- ALM
- 비주얼 스튜디오
- ASP.NET
- Visual Studio 11
- monodevelop
- Team Foundation Server
- 비주얼 스튜디오 2010
- .NET
- 엄준일
- .NET Framework 4.0
- Windows 8
- MEF
- POWERUMC
- LINQ
- mono
- tes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2020/05 (1)
- 2019/10 (3)
- 2018/11 (1)
- 2018/08 (2)
- 2017/04 (1)
- 2017/01 (2)
- 2016/11 (2)
- 2016/08 (1)
- 2016/05 (1)
- 2016/04 (2)
- 2016/02 (2)
- 2016/01 (1)
- 2015/05 (1)
- 2015/04 (2)
- 2015/03 (1)
- 2015/02 (1)
- 2015/01 (1)
- 2014/11 (1)
- 2014/09 (2)
- 2014/08 (2)
- 2014/05 (2)
- 2014/04 (3)
- 2014/03 (2)
- 2014/02 (2)
- 2014/01 (4)
- 2013/12 (2)
- 2013/11 (1)
- 2013/10 (2)
- 2013/09 (6)
- 2013/08 (3)